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

임상시험이란?– 신약이 사람에게 도달하기까지의 마지막 검증 단계 본문

신약개발스토리

임상시험이란?– 신약이 사람에게 도달하기까지의 마지막 검증 단계

N년차 박사 2025. 5. 23. 12:06

바이오 신약 개발 회사에 몸담고 있는 N년차 박사가 들려주는 신약 개발 이야기 7.

임상시험의 정의

임상시험(Clinical Trial)이란, 신약 후보 물질이 실제 사람에게 얼마나 안전하고 효과적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이전 단계인 전임상 시험이 세포나 동물 수준에서 약효를 평가했다면, 임상시험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최종적인 검증이다.

신약이 정식으로 시장에 출시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1상~3상 임상시험을 거쳐야 하며, 승인 후에도 4상 임상시험으로 지속적인 관찰이 이루어진다.


임상시험의 4단계: 각 단계별 목적과 구성

✔️ 1상 임상시험 (Phase 1)

  • 목적: 약물의 안전성(Safety), 최대 허용 용량(MTD), 약물동태학(PK) 확인
  • 참여 대상: 건강한 성인(일반적으로), 또는 중증질환 환자
  • 규모: 소규모(20~80명 내외)
  • 내용:
    • 약물을 소량부터 투여하면서 부작용 여부를 관찰
    • 약물이 어떻게 흡수되고 대사되며, 체내에 얼마나 머무는지 확인
  • 특징: 효과보다 안전성이 중심, 실패율이 높지만 필수 관문

✔️ 2상 임상시험 (Phase 2)

  • 목적: 약물의 효능(Efficacy)과 안전성(Safety) 확인
  • 참여 대상: 실제 해당 질환 환자
  • 규모: 중간 규모(100~300명 내외)
  • 내용:
    • 복수 용량군에서 약효의 유무, 적정 용량, 부작용 발생 빈도 등을 파악
    • 종종 위약(Placebo) 대조군과 비교
  • 특징: 임상개발의 핵심 단계로, 성공 시 큰 가치 상승

✔️ 3상 임상시험 (Phase 3)

  • 목적: 신약의 효과와 안전성을 대규모 환자 집단에서 최종 검증
  • 참여 대상: 수천 명에 이르는 실제 환자
  • 규모: 대규모(1,000~5,000명 이상)
  • 내용:
    • 표준치료와의 비교, 장기 복용에 따른 안전성 평가
    • 다국가 임상(Global trial)이 포함되기도 함
  • 특징: 가장 비용이 크고, 실패 시 손실도 큰 단계
    • 성공 시 신약 허가 신청(NDA 또는 BLA) 가능

✔️ 4상 임상시험 (Phase 4)

  • 목적: 허가 후 시판된 약물의 장기적 안전성과 드문 부작용 모니터링
  • 참여 대상: 일반 환자(실제 의료 환경)
  • 내용:
    • 수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가운데, 실제 사용에서 나타나는 이상반응, 약물 상호작용 등을 수집
    • 새로운 적응증 추가를 위한 자료 수집도 포함
  • 특징: 사후 감시(PMS, Post Marketing Surveillance), 리얼월드데이터(RWD) 활용

임상시험은 누가 승인하고, 어떻게 진행되나?

  • 각국 규제기관(FDA, EMA, 식약처 등)의 사전 승인이 필요
  • 임상시험 계획은 IRB(임상시험심사위원회) 검토를 받아 윤리적 정당성을 확보해야 함
  • 시험은 GCP(Good Clinical Practice) 기준에 따라 엄격하게 진행
  • 환자의 **자발적 동의(Informed Consent)**는 필수 절차

최신 트렌드: 디지털 임상시험과 가상 환자 모델

  1. Decentralized Clinical Trial (DCT)
    – 병원이 아닌 환자 중심(Home-based) 임상시험
    – 원격 모니터링, 디지털 기기, 앱 기반 데이터 수집
  2. 디지털 바이오마커 활용
    – 웨어러블, 스마트워치 등을 통한 운동량, 심박수, 수면 패턴 등 실시간 데이터 분석
  3. AI 기반 환자 모집 최적화
    – 전자의무기록(EMR) 기반으로 적합한 환자군 자동 선별
  4. 가상 환자 모델(simulated patient)
    – 임상 이전 단계에서 AI 기반 인체 모델을 통해 반응 예측

결론

임상시험은 신약이 환자에게 닿기까지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이 과정을 통해 안전성과 효과가 객관적으로 증명되어야만 비로소 의약품으로 세상에 나올 수 있다.

또한 임상시험은 단순한 의학 연구가 아닌, 과학, 규제, 윤리, 기술이 결합된 복합적 프로세스이며,
실패를 줄이고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디지털 혁신과 정밀 전략의 적용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