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약개발스토리21

신약 개발의 마지막 질문: 사회적 가치와 윤리적 고려는 충분한가? 바이오 신약 개발 회사에 몸담고 있는 N년차 박사가 들려주는 신약 개발 이야기 29.1. 신약은 생명을 구한다… 그러나 누구의 생명인가?신약은 단순한 치료 수단을 넘어 인류의 생존과 삶의 질에 직결된 혁신이다. 하지만 한편으로, 우리는 질문해야 한다.“그 약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전 세계적으로 출시된 신약 중 상당수가 고소득 국가의 만성질환, 희귀질환, 항암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이는 시장성 중심의 투자 구조 때문이다.개발비 회수를 위해 가격은 수천만 원, 심지어 수억 원을 넘는 경우도 많다.결국 저소득국가, 또는 건강보험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은 이 혁신의 혜택에서 배제되곤 한다.2. 희귀질환·소아질환은 소외되는가?신약은 시장이 아닌 사람을 위한 것이다.하지만 현실은 희귀하거나 경제성이 낮은 질환에 .. 2025. 10. 5.
신약 개발의 미래: 인공지능(AI)과 디지털 기술의 융합 – 효율성과 성공률을 동시에 높이는 차세대 전략 바이오 신약 개발 회사에 몸담고 있는 N년차 박사가 들려주는 신약 개발 이야기 28. 1. 왜 디지털 전환이 필요한가?전통적인 신약 개발은 평균 10~15년, 수천억 원 이상의 비용이 소요되는 고위험-고비용 산업이다.특히 임상 실패율이 90% 이상에 달할 만큼 불확실성이 크다.이러한 상황에서 AI, 빅데이터, 디지털 트윈, 클라우드 등의 기술이시간 단축, 비용 절감, 성공률 제고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며제약·바이오 산업의 필수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다.2. AI가 바꾸는 신약개발의 각 단계🔬 타겟 발굴 (Target Identification)수십억 개의 유전체 및 전사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질병 원인 유전자 또는 약물 표적 단백질을 예측*예시: 베릴AI(B.. 2025. 9. 15.
신약 개발의 윤리와 사회적 책임 – 생명을 다루는 기술, 어떻게 더 공정할 수 있을까? 바이오 신약 개발 회사에 몸담고 있는 N년차 박사가 들려주는 신약 개발 이야기 25. 신약 개발은 단지 과학일까?신약은 누군가의 생명을 구하는 약이기도 하고,다른 누군가에게는 평생 손에 넣지 못할 ‘고가의 희망’이기도 하다.개발에는 수천억 원이 들고, 성공률은 낮지만,성공한 약 하나는 수십 조 원의 매출을 낼 수 있다.이런 구조 속에서 제약회사는 항상 “이익과 윤리 사이”에서 줄타기를 한다.그래서 신약 개발은 기술이자 사업이고, 동시에 사회적 행위다.1. 임상시험의 윤리성임상시험은 신약이 사람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지 검증하는 핵심 절차다.하지만, 실험 대상은 환자이며 인간이다.주요 이슈:정보에 기반한 동의(Informed Consent): 환자가 충.. 2025. 8. 24.
신약의 글로벌 진출 전략 – 미국, 유럽, 아시아를 넘나드는 약의 여권 만들기바이오 신약 개발 회사에 몸담고 있는 N년차 박사가 들려주는 신약 개발 이야기 23.신약, 한 나라에서만 팔기엔 아깝다수년의 연구와 수천억 원의 비용을 들여 개발한 신약.이제 허가를 받고 출시됐다면, 다음 단계는 해외 진출이다.신약의 글로벌 진출은 단순한 매출 확대가 아닌, 기업 가치 제고, 투자 유치, 기술이전(L/O), 환자 접근성 확대 등 다양한 이점을 갖는다.하지만 각국 규제, 시장 접근 방식, 문화적 장벽은 매우 다르다. 따라서 **전략적인 ‘글로벌 진출 플랜’**이 필요하다.🌎 글로벌 3대 시장: 미국, 유럽, 아시아지역특징주요 규제기관미국최대 의약품 시장, 고약가 구조FDA유럽27개국 공동허가 체계, 비교임상 강조EMA아시아규제 다변화, .. 2025. 6. 18.